백일해 기침 “아이가 한 번 기침을 시작하면 멈추질 않아요.” “밤마다 기침하다 토할 정도인데 혹시 백일해인가요?”
이런 질문을 하는 부모들이 많습니다. 특히 어린 자녀를 둔 가정이라면, 기침이 몇 주 이상 지속되면 단순 감기인지, 백일해 같은 전염성 질환인지 불안해지기 마련입니다. 백일해 전염성이 매우 강한 급성 호흡기 감염병으로, 특히 신생아·영유아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 질환입니다. 백일해의 특징은 바로 그 이름처럼 수 주 이상 지속되는 심한 발작성 기침입니다.
백일해는 보르데텔라 백일해균(Bordetella pertussis)이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감염병입니다.
전염력이 매우 높고, 초기에는 감기와 구별이 어려워 쉽게 방치되었다가 심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.
원인균 | Bordetella pertussis (백일해균) |
감염 경로 | 기침, 재채기를 통한 공기 감염 (비말 전파) |
잠복기 | 평균 7~10일 (최대 21일) |
전염성 기간 | 초기부터 3주간 가장 강함 |
주요 증상 | 발작적 기침, 구토, 거위 울음소리, 청색증 |
특히 백신을 접종하지 않았거나 면역력이 약해진 아이들에게서 빠르게 전파됩니다.
백일해 기침 초기에는 감기처럼 가벼운 마른기침으로 시작하지만, 점점 숨 쉴 틈 없이 이어지는 기침 발작이 나타나고,
기침 후에는 ‘휴~욱’ 하며 들이마시는 거위 울음소리 같은 소리가 특징입니다.
초기(1~2주) | 가벼운 기침, 콧물, 미열 (감기와 유사) |
경련기(2~4주) | 심한 발작성 기침, 호흡곤란, 토할 정도의 기침 |
회복기(3~6주) | 기침 횟수와 강도는 감소하지만 수 주간 지속 |
기침하다가 토하거나, 눈이 충혈되고 얼굴이 벌겋게 되는 경우, 백일해 가능성을 의심해야 합니다.
백일해 기침 부모 입장에서 중요한 건 "도대체 이 기침이 백일해인지 아닌지 어떻게 구별하죠?"라는 것입니다.
실제로 감기, RSV, 폐렴 등과도 증상이 겹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비교가 필요합니다.
백일해 | 발작적, 연속적인 마른기침, 기침 후 숨소리 | 가벼움 또는 없음 | 구토, 청색증, 눈 충혈 |
감기 | 간헐적, 건조하거나 가래 섞인 기침 | 보통 있음 | 콧물, 인후통, 금방 호전 |
RSV | 거친 기침, 천명음 | 미열 또는 없음 | 영유아에서 흔함, 쌕쌕거림 |
폐렴 | 깊고 거친 기침, 가래 동반 | 고열 | 호흡곤란, 흉통 동반 |
기침이 2주 이상 지속되거나, 밤에 심해지고 토하거나 숨 쉬기 어려운 모습이 보이면 반드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.
백일해 기침 백일해는 증상만으로 확진하기 어려워서, 보통 의심 증상 + 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.
PCR(유전자 증폭검사) | 콧물 채취 후 백일해균 유전자 확인, 가장 정확 |
백혈구 수치 | 말초 혈액 내 백혈구 증가 (특히 림프구) |
항체 검사 | 과거 감염 여부 확인, 급성기엔 제한적 |
흉부 X-ray | 폐렴 등 동반 여부 확인용 |
PCR 검사는 초기 감염일수록 정확도가 높으며, 3주 이상 경과 시 음성일 수도 있습니다.
초기 감염 시에는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(예: 에리트로마이신, 아지스로마이신)를 투여하여 전염성을 낮추고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줍니다.
아지스로마이신 | 5일 |
클라리스로마이신 | 7일 |
에리트로마이신 | 14일 |
기침이 시작된 후 3주 이상 지났다면 항생제 효과는 제한적이지만, 전파 방지를 위해 처방될 수 있습니다.
수분 섭취 | 기도 점막 촉촉하게 유지 |
습도 유지 | 건조한 실내에서 기침 악화 방지 |
기도 흡입기 | 필요 시 점액 제거 보조 |
기침 후 체위 변경 | 구토 방지 및 기도 확보 |
어린 영유아의 경우 입원치료를 통해 산소공급, 정맥 수액, 모니터링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백일해는 예방접종만이 가장 확실한 예방법입니다. 국가 필수 예방접종(NIP)에 포함되어 있으며, DTaP 백신(Diphtheria, Tetanus, Pertussis)으로 예방합니다.
생후 2, 4, 6개월 | DTaP 1~3차 | 기초접종 |
만 15~18개월 | DTaP 4차 | 추가접종 |
만 4~6세 | DTaP 5차 | 마지막 기본접종 |
만 11~12세 | Tdap (소아용 백일해 포함) | 청소년용 추가접종 |
임산부 | Tdap (임신 27~36주) | 태아 보호 목적 |
성인 및 보호자도 면역력이 약해졌을 경우 백일해 감염원이 될 수 있으므로, 추가 접종이 권장됩니다.
백일해는 단순히 오래가는 기침에 그치지 않고, 특히 영유아에게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.
영유아 | 폐렴, 무호흡, 뇌증, 경련, 사망 위험 |
소아 | 갈비뼈 골절, 기침성 구토, 청색증 |
성인 | 늑골 골절, 요실금, 탈장 등 |
1세 미만 영아는 입원치료가 권장되며, 특히 6개월 미만은 사망률이 높아 예방접종 전 보호자의 예방접종이 중요합니다.
백일해 기침 백일해는 단순 감기처럼 시작되지만 수주간 지속되는 기침, 구토를 유발할 정도의 기침 발작,감염성 높은 호흡기 질환으로 가볍게 넘기면 안 되는 질병입니다. 특히 생후 6개월 미만의 아기들에게는 매우 위협적인 질병으로, 조기 진단, 예방접종 가족 모두의 면역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백일해는 빠른 진단과 치료로 회복이 가능하며, 예방은 더 확실합니다.